Useful knowledge that enriches life
대한민국 청소년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외국문학 고전 30권 수록
확 바뀐 2028 대입 개편안에 맞춰 생기부 세특은 물론 심화 독후 활동까지
최상위권 대학이 원하는 통합적 사고 능력과 통찰력을 갖추기 위한 하루 10분 고전 독서 플랜
최근 교육과 입시 제도의 흐름이 급격히 바뀌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와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이 달라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대학, 특히 최상위권 대학들은 이제 인지 능력만이 아니라 공동체 내에서 활발히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전인적이며 통합적인 인재를 원한다. 이러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견하고, 근본적인 질문과 답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사물이나 현상을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바로 독서, 그중에서도 ‘고전 읽기’다.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시리즈는 다양한 고전 읽기를 통해 학생들이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전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현직 교사 6명이 한국 문학, 외국 문학, 경제, 과학, 역사,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대표적인 고전 작품 180편을 엄선했다. 국내 굴지의 대학들이 제시하는 권장 도서 혹은 필독 도서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대표적인 작품들을 담았으며,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28 대입 개편안 시행을 앞두고 학교생활기록부에 교과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교육 현장의 변화를 반영했다.
이번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외국문학 편』은 문학적 가치와 더불어 학생들의 삶과 사유에 깊은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 서른 권의 작품을 오롯이 담았다. 각 작품들은 서로 다른 시대와 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하고 있지만, 인간 존재의 본질이나 도덕적 갈등, 사회적 부조리 등 시대를 초월해서 사유해볼 만한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어 읽는 것만으로도 누구에게나 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학생들이 작품을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교과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탐구 주제와 방향, 학교생활기록부의 진로 활동 및 세특에 반영할 구체적인 예시와 방법도 소개하고 있어, 독서와 연계하여 학생부종합전형을 대비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 되어 줄 것이다.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 첫 번째 책 - 《1984》, 조지 오웰
▶ 두 번째 책 - 《걸리버 여행기》, 조너선 스위프트
▶ 세 번째 책 -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 네 번째 책 -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 다섯 번째 책 - 《데미안》, 헤르만 헤세
▶ 여섯 번째 책 - 《돈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 일곱 번째 책 - 《동물농장》, 조지 오웰
▶ 여덟 번째 책 -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 아홉 번째 책 - 《로빈슨 크루소》, 대니얼 디포
▶ 열 번째 책 -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 열한 번째 책 - 《모비 딕》, 허먼 멜빌
▶ 열두 번째 책 - 《백년 동안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열세 번째 책 - 《변신》, 프란츠 카프카
▶ 열네 번째 책 - 《수레바퀴 아래서》, 헤르만 헤세
▶ 열다섯 번째 책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 열여섯 번째 책 -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 열일곱 번째 책 - 《위대한 개츠비》, F.스콧 피츠제럴드
▶ 열여덟 번째 책 -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열아홉 번째 책 -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 스무 번째 책 - 《자기 앞의 생》, 로맹 가리(에밀 아자르)
▶ 스물한 번째 책 - 《제인 에어》, 샬롯 브론테
▶ 스물두 번째 책 - 《죄와 벌》,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 스물세 번째 책 - 《주홍 글자》, 너새니얼 호손
▶ 스물네 번째 책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 스물다섯 번째 책 -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 스물여섯 번째 책 - 《파우스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스물일곱 번째 책 - 《페스트》, 알베르 카뮈
▶ 스물여덟 번째 책 - 《햄릿》, 윌리엄 셰익스피어
▶ 스물아홉 번째 책 -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 서른 번째 책 - 《호밀밭의 파수꾼》,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변화하는 입시 제도에도 변하지 않는 역량을 키우는 법, 바로 ‘고전 읽기’
현직 교사들이 직접 고른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시리즈의 두 번째 책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외국문학 편》
고교학점제 시행, 문이과 통합, 학생부종합전형 확대 등 최근 교육과 입시 제도의 흐름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교과목을 선택하며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해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특히 최상위 대학들은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증명할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지닌 인재를 원한다. 인지 능력뿐만 아니다. 공동체 내에서 활발히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까지 골고루 발달한 인재를 바란다. 이러한 역량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견하고, 근본적인 질문과 답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사물이나 현상을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바로 독서, 그중에서도 ‘고전 읽기’다.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시리즈는 다양한 고전 읽기를 통해 학생들이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시리즈는 한국 문학, 외국 문학, 경제, 과학, 역사, 철학 등 분야별로 고전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현직 교사 6명이 대표적인 고전 작품 180편을 엄선하여 소개한다. 국내 굴지의 대학들이 제시하는 권장 도서와 필독 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학생들이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고전 필독서 심화 탐구 및 생기부 활용 가이드 제시
내신 준비부터 생기부 진로, 과세특 연계까지 한 권으로 완성!
무엇보다 이 시리즈는 고전 필독서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여 학생들이 고전 읽기에 대한 심리적 허들을 낮추고, 편안하게 고전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 꼼꼼한 해설로 내신 대비도 가능하고, 심화 탐구 활동 가이드를 함께 제공해 단순히 독서 활동에서 끝나지 않고 학업과 연계되도록 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28 대입 개편안 등에 따라 학교생활기록부에 교과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생기부와의 연계 방향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자 했다. 교과별로 고전과 연계하여 찾아볼 탐구 주제와 방향 등을 제시하고, 고전을 읽은 후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세특과 연계하여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와 방법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영역의 고전 읽기를 시도하며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학교생활기록부의 로드맵을 그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독서의 즐거움과 삶의 가치를 배우고 입시를 향한 여정에서 선택의 방향을 잡는 데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
문해력과 사고력을 키워 주는 외국문학 고전 30권 엄선
주요 고전들에 대한 핵심 개념 설명과 희망 진로와 연계한 후속 활동까지
《1984》, 《멋진 신세계》, 《제인 에어》 등은 제목만 들어도 누구나 알 만한 유명한 고전들이지만, 정작 이 책들을 정독하며 곱씹어본 학생들은 그리 많지 않다. 우리와는 다른 문화권을 이해하면서 읽어내야 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외국문학 편》에서는 세계 문학사에 족적을 남긴 위대한 서른 권의 작품들을 엄선해, 각 작품의 줄거리뿐 아니라 작가의 생애와 특이점, 작품이 쓰여진 시대적 배경까지 담아 고전 이해하기에 대한 발판을 높였다. 그뿐만 아니라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책 속 이슈들을 함께 수록해 놓음으로써, 작품 감상이 현재에 대한 사고력으로 이어지도록 도왔다. “이 책이 고전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고, 좀 더 쉽고 즐겁게 작품 속으로 빠져드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저자의 말처럼, 《생기부 고전 필독서 30 외국문학 편》은 고전 독서의 첫 여정에 친절하고 꼼꼼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외국문학 고전을 활용한 나만의 생기부 스토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